실험 09 조석 자료 분석
Introduction
바닷가에 가 보면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는 바다를 누구나 볼 수 있다. 이러한 바다의 움직임은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일어나는데 그 중 주로 달, 태양 등의 천체의 인력에 의해 일어나 몇 시간 정도의 주기로 반복되는 움직임을 조석(tide)이라 하고, 그 높이를 측정하는 것을 조석 관측이라 한다. 특히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더욱 잘 볼 수 있다.
조석 곡선은 1태음일 동안 한 장소에서 조위면의 상승과 하강을 나타낸 것이다. 한 지점에서 한 달 동안의 조석은 사리와 조금의 시각이 나타나 있어 한 달 동안의 조석 변화와 조석의 평균 유형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이 실험에서는 주어진 조석 자료를 가지고 조석 곡선을 작성하여 조석의 유형을 판단하고 조석 곡선을 분석하는 것이다.
Method
⑴ 2015년 4월, 동해(포항), 서해(송도), 남해(진도)의 조석 관측 자료를 얻는다. (국립 해양 조사원 : http://www.khoa.go.kr/oceangrid/koofs/kor/oldobservation/obs_past_search_statistic.do)
⑵ 세 지역의 조석 곡선을 그린다. (자신이 결과에 사용한 조석 곡선을 꼭 첨부하세요.)
⑶ 해석한다.
Results
⑴ 작성된 조석 곡선에 의하면 관측지의 조석은 어떤 유형을 나타내는가? (상술하시오)
⑵ 대조차는 얼마인가? 이 때는 언제이며, 달의 위상은 무엇인가?
⑶ 소조차는 얼마인가? 이 때는 언제이며, 달의 위상은 무엇인가?
⑷ 평균 조차는 얼마인가?
⑸ 동해, 서해, 남해의 조석 현상 특징을 비교해보자.
Discussion
Assignment
⑴ 다양한 조석의 형태(반일주조, 일주조, 혼합조)가 발생하는 이유(즉, 조석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는 무엇일까?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