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08. 수온의 수평 수직 분포
Introduction
태양 복사 에너지는 해수의 표면 온도에 영향을 미친다. 해수의 표면 온도는 일반적으로 적도 부근에서 가장 높고 고위도로 갈수록 낮아지는데, 위도 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이 수온 분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역별로 조금씩 다른 특성을 보인다. 수온의 수평분포로부터 난류 또는 한류의 분포를 알 수 있으며, 소용돌이의 존재 및 이동, 용승 여부와 에크만 수송을 확인할 수 있다.
해양을 연직으로 보면 위로부터 혼합층, 수온약층, 심해층의 세 층으로 크게 분리할 수 있다. 이 중 수온 약층은 온도가 깊이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안정한 층으로 계절에 관계없이 존재하는 영구수온약층과 계절에 따라 생성 소멸하는 계절수온약층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깊은 바다의 경우 영구 수온약층이 있고, 얕은 바다는 계절 수온약층만 존재한다.
우리나라에서 해양 자료의 수집은 1965년 이후 동, 남, 서해의 총 22개의 정선에서 연 6회에 걸쳐 층별 해양 조사를 실시하여 해양조사 연보에 그 자료를 수록하고 있다. 최근에는 몇 개의 정선을 더 추가하였으며, 연안 정지관측, 부이 관측, 위성 관측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해양 관측을 실시하고 있으며 인터넷으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 근해 수온의 수평, 수직 분포를 도시(圖示)하고, 수온 분포의 특징을 알아보자.
Method
⑴ 실험 자료
한국해양자료센터(https://www.nifs.go.kr/kodc/soo_list.kodc)
[해양관측자료] - [정선해양관측자료]의 자료 활용
⑵ 실험 방법
실험 1. 수온의 수평분포
㈀ 정선해양관측자료(2011년 2월, 8월(또는 9월))를 조사한다.
㈁ 정점의 위치를 확인하여 수온 관측 자료를 [정선관측지점 위치도]에 기입한다.
㈂ 등수온선도를 그린다.
㈃ 해류, 용승, 에크만 수송 등을 파악한다.
실험 2. 수온의 수직분포
㈀ 서해, 동해, 남해에서 대표 관측지점(정점)을 선정한다.
㈁ 세 지점에서의 2014년 2월, 8월의 수직 수온 분포를 조사한다. (동해: 102-9, 남해: 400-27, 서해: 312-10)
㈂ 수직 수온 분포를 그래프로 그린다(계절별 비교, 바다별 비교).
㈃ 수온약층의 위치를 찾고 분석한다.
Results
실험 1. 수온의 수평분포
⑴ 대한민국 연안의 등수온선도 그리기
⑵ 결과 해석
① 수온이 가장 높은 지점 표시 (서해, 동해, 남해에서 한 군데씩 골라 표시)
② 수온이 가장 낮은 지점 표시 (서해, 동해, 남해에서 한 군데씩 골라 표시)
③ 표층 수온 분포의 특징적인 부분을 찾아 기술하시오 (계절별 비교, 해류 파악, 기타 수온 분포의 특징 등)
실험 2. 수온의 수직분포
⑴ 서해, 동해, 남해의 수온 수직 분포 그래프 그리기
⑵ 결과 해석
① 혼합층, 수온약층, 심해층 구분하기 (그래프에 표시)
|
서해 |
동해 |
남해 |
|||
계절 |
여름 (8월) |
겨울 (2월) |
여름 (8월) |
겨울 (2월) |
여름 (8월) |
겨울 (2월) |
혼합층의 두께(m) |
|
|
|
|
|
|
수온약층의 두께(m) |
|
|
|
|
|
|
② 세 바다에서 공통적으로 수온 약층이 존재하는 계절
③ 서해의 겨울, 여름의 수온 수직 분포의 비교 및 그에 대한 분석
④ 동해의 수온약층과 서해의 수온약층의 특성 비교 및 원인 분석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