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아웃

다양한 종류의 일기도를 TV, 온라인, 기상 앱 등에서 볼 수 있다. 하지만 일기도가 식별하고 이해하기 쉽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은 데이터와 그 위에 표시된 다양한 기호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한다. 따라서 이 실험을 통해 기단, 전선,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일기도에 대해 익숙해지는 시간을 가져볼 것이다.

목표

Part I

기단은 육지나 물 위로 발달한 지구 표면을 가로질러 움직이는 큰 공기 덩어리다. 육지에서 발달하는 것들은 전형적으로 비교적 건조하기 때문에 대륙성 기단(c)이라고 불리는 반면, 물 위에서 발달하는 것들은 전형적으로 비교적 습해서 해양성 기단(m)이라고 불린다. 이것들은 또한 높은 위도나 낮은 위도에서 형성될 수 있는데, 높은 위도에서 형성되는 것들은 비교적 춥기 때문에 극기단(P)이라고 불리며, 낮은 위도에서 형성되는 것들은 비교적 따뜻해서 열대 기단(T)이라고 불린다. 따라서 우리는 4가지 기본 공기질량 유형인 cP, cT, mP, mT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유형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다음 문장을 완성하라:

Part II

두 개의 기단이 만나면 그 사이의 경계를 전선면이라고하며, 이 경계가 지면과 교차하는 선을 전선이라 하고 일기도에 적절한 기호로 표시된다. 전선에는 네 가지 유형이 있는데 각각은 고유의 기호를 가지고 있다.

비교적 따뜻한 기단이 비교적 차가운 기단에 부딪힐 때 우리는 그들 사이의 경계를 온난 전선(warm front)이라고 부르며, 이것들은 운동 방향을 가리키는 쪽에 반원형이 그려진 붉은 선으로 표시된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차가운 기단이 비교적 따뜻한 기단에 부딪힐 때 우리는 그것을 한랭 전선(cold front)이라고 부르며, 이것들은 운동 방향을 가리키는 쪽에 삼각형이 그려진 파란색 선으로 표시된다.

다른 때는 따뜻한 공기 질량과 차가운 공기 질량이 서로 부딪히기보다는 서로를 지나칠 수 있으며, 이는 두 사람 사이의 경계가 비교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체 전선(stationary front)이라고 불린다. 이것들은 빨간색과 파란색의 교대로 표시되며, 빨간색 부분에는 빨간색 반원형이 차가운 기단 쪽에 표기되어 있고, 파란색 부분에는 파란색 삼각형이 따뜻한 기단 쪽에 표기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온대 저기압(mid-latitude cyclones)이라고 불리는 기상 시스템에서 더 복잡한 상호작용이 발생할 때, 정체 전선이 회전하기 시작하면서 냉기가 따뜻한 공기 아래로 밀려들고, 따뜻한 공기는 차가운 공기를 타고 올라간다. 이렇게 되면 폐색 전선(occluded front)이 발달하는데, 이 전선은 회전하는 방향 쪽에 번갈아 반원과 삼각형이 있는 보라색 선으로 표시된다.

전선의 종류.png       Occluded_cyclone.png

각 전선을 종류별로 색상을 맞춰서 그리시오. (색상 사용이 어려운 경우, 색상을 라벨로 표기)

Part III

일기도 1(pg. 21)은 다양한 취지에서 측정된 대기압(단위: mb)을 보여준다.

Part IV

일기도 2 (pg. 22)는 강수량에 대한 레이더 사진이다. 강수가 약한 지역은 진한 파란색으로 나타나 있으며, 강수가 많은 지역은 빨간색으로 나타나 있다.

Part V

일기도 3 (pg. 23)에는 저기압에 큰 파란색 L, 고기압에 큰 붉은색 H가 표기되어 있다. 또한 기상계에 의해 만들어진 온난 전선과 한랭 전선이 표기되어 있다. 박스로 나타낸 지역은 토네이도가 관찰되었다고 발표된 지역이다.

A:

B:

Part VI

일기도 4(pg.24)는 미국 전역에 존재하는 구름을 보여주는 동일한 기상계의 적외선 위성 이미지다.

 

Weather Map 1

weather1.jpg

Weather Map 2

weather2.png

Weather Map 3

weather3.png

Weather Map 4

weather4.png


Revision #2
Created 5 November 2021 02:14:26 by 가석현
Updated 5 November 2021 02:39:20 by 가석현